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정책사회부 김단비 기자와 아는기자 이어갑니다. <br> <br>1. 김 기자, 현재까지 부상자 2명 외에는 생존자 발견 소식이 나오지 않고 있어요. 이렇게 인명피해가 커진 이유는 뭡니까? <br><br>아직까지 조사가 진행 중입니다만 국토부가 오늘 공개한 무안국제공항 관제탑과 사고 항공기 기장과의 교신내용으로 당시 상황을 재구성해보겠습니다. <br> <br>승객과 승무원 181명을 태운 제중항공 여객기는 원래 무안공항 1번 활주로 쪽으로 착륙할 예정이었습니다. <br> <br>그런데, 무안 공항 관제탑에서 "조류 충돌을 주의하라"고 비행기에 경고를 했고요. <br> <br>잠시 뒤 조종사는 긴급 구조신호인 '메이데이'를 선언했고, 관제탑이 기존에 접근하던 것과 반대 방향인 19번 활주로 착륙을 허가합니다. <br> <br>정상적인 상황이라면 공항 주변을 한바퀴 돌아서 1번 활주로로 다시 접근해야 하는데, 활주로를 급히 변경해야 할 정도로 비행기의 상태가 급박하고 심각했던 걸로 보입니다. <br> <br>그런데 착륙용 바퀴를 펴지 못하면서 활주로에 동체 착륙을 시도했고, 속도를 줄이지 못한채, 활주로 끝까지 지나친 뒤에 공항 외부 담장과 충돌하면서 폭발을 일으켰습니다. <br> <br>2. 비상 착륙할 때도 제동이 걸리지 않았던 것 같아요? <br><br>확보된 영상을 보면 비행기에서 랜딩 기어 즉 착륙용 바퀴가 내려오진 않고 동체 바닥이 활주로를 쓸면서 착륙을 시도했거든요. <br> <br>원래는 랜딩기어가 동체에서 나와서 착륙할 때의 충격과 하중을 견뎌줘야 하는데요. <br> <br>이번 사고 비행기는 그렇지 못했습니다. <br> <br>랜딩기어 오작동 원인은 아직까지는 확인되지 않았는데요. <br> <br>조류가 엔진에 빨려 들어가는 이른바 버드스트라이크 때문에 엔진을 비롯한 동력 계통 외에도 비행기의 다른 기능까지 문제가 생기면서 동체 안에 접혀 있던 랜딩기어가 동체 밖으로 펴지지 않았을 가능성이 제기됩니다. <br> <br>사고 목격자에 따르면 바퀴에 불이 붙어 있었다고 했는데, 착륙전에 화재 영향 등으로 랜딩 기어에 이상이 생겼을 수도 있습니다. <br> <br>오늘 국토부 브리핑에서도 랜딩기어가 제대로 작동했는지, 작동했는데도 활주로가 짧아 제동효과를 보지 못한 건지 질의가 이어졌는데, 국토부는 블랙박스를 분석해보겠다며 아직까지는 원인에 대해 신중한 입장을 보였습니다. <br> <br>3. 그런데 제동장치가 바퀴만 있는 건 아니잖아요. <br><br>네, 항공기의 제동장치에는 에어 브레이크, 라고 불리는 장치가 있습니다. <br> <br>비행기가 활주로에 착륙하면 비행기의 양쪽 날개 뒷부분 끝을 들어올려서 속도를 줄이는 장치인데요. <br> <br>공기 저항을 크게 해서 비행기가 뜨려는 힘을 억제하고 앞으로 나아가는 속도를 억제하는 역할을 합니다. <br> <br>그런데 정확한 조사 결과를 지켜봐야겠지만 이 장치도 제대로 작동했는지가 확실치 않습니다.. <br> <br>사고 영상을 보면, 비행기가 속도가 줄어들지 않고 활주로 끝단으로 빠르게 이동하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. <br> <br>랜딩기어뿐만 아니라 에어 브레이크도 제대로 작동하지 않으면서 충돌 충격이 더 커졌을 가능성이 있습니다. <br> <br>4. 충돌과 폭발 충격이 상당했습니다. <br><br>수습된 사망자의 신원 확인이 어려울 정도로 폭발 충격이 상당했습니다. <br> <br>현장에서 수습된 시신 상당수는 사고 비행기 동체 내부가 아니라 활주로와 그 주위 갈대밭 등에서 발견돼 당시 폭발 충격이 얼마나 컸는지 짐작해볼 수 있습니다. <br> <br>충돌과 동시에 발생한 화재도 인명피해를 키웠습니다. <br> <br>동체 착륙을 하는 비행기는 미리 연료를 모두 버려야합니다. <br> <br>착륙 과정에서 화재와 폭발 위험이 크기 때문인데요. <br> <br>통상 고고도에서 공기 중에 항공유를 뿌리거나 이 방법이 여의치 않으면 공항 주변 등을 계속해서 돌면서 연료를 소진하는 방법이 있는데요. <br> <br>이번 사고 비행기의 경우 비상 구조 신호를 보내고 곧바로 비상착륙을 시도한 걸로 볼 때, 연료를 공중에 뿌려 없애거나 소진시킬 여유가 없었던 것 아니냐 그래서 폭발과 화재 피해를 키운 것 아니냐는 분석도 조심스럽게 나오고 있습니다. <br><br>김단비 기자와는 잠시후 더 얘기 나눠보겠습니다. <br><br><br /><br /><br />김단비 기자 kubee08@ichannela.com